라벨이 문학인 게시물 표시

제네바에서 키베르까지, 부비에의 여행

이미지
살면서 단 한 권의 책이, 삶의 방향을 흔들어놓는 일이 있다. 니콜라 부비에의 『The Way of the World(세상의 용법)』은 내게 그러한 충격을 안겨준 책이다. 책에서는 여행의 노하우는 담겨있지 않다. 오히려 모든 익숙한 기준을 내려놓고, 세상을 보고 받아들이는 '자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여행은 사람을 만들거나 해체시킨다" 는 부비에의 고백처럼, 책장을 덮었을 때 나는 마치 해체된 퍼즐 조각이 새로운 질서를 찾아 맞춰지는 감각을 느끼게 될 것이다. 피아트 토폴리노, 고장이라는 축복 여행에서 동행이란 단어는 사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세상의 용법』에서 부비에와 그의 친구이자 화가인 티에리 베르네의 여정에 함께한 피아트 토폴리노는 단순한 탈것을 넘어서는 존재였다. 그 낡은 자동차는 말없이 이들의 길을 함께 걸었고, 고장이라는 이름의 우연한 정지에서 수많은 인연과 마주침을 가능케 했다. 작은 엔진의 떨림과 오일 냄새, 균열 난 차체 아래에 누워있는 두 사람의 모습이 선하게 그려진다.  "황폐한 정비소야말로 형이상학적 만남의 장소였다" 부비에의 묘사는 과장이 아니라 실감이다. 한겨울 차가운 바람이 스며드는 정비소 안에서도, 인간의 체온과 이야기는 여전히 뜨겁게 타오르고 있었다. 그런 장소에서 만난 누군가의 짧은 미소, 도와주려는 손길, 커피 한 잔의 온기야말로 여행 중 만나는 진짜 사람 냄새였다. 토폴리노는 자주 멈췄고, 그 멈춤이야말로 두 사람이 '세상'을 만나고 해석하는 방식이었다. 타브리즈에서 배운 느림의 미학 이란 북부 타브리즈에서 부비에와 베르네가 보낸 겨울은, 내게도 오래도록 머무는 장면이 되었다. 그들은 이곳에서 여행을 잠시 멈추고, 낯선 도시의 리듬에 몸을 맡겼다. 빠르게 회전하는 문명의 기어에서 잠시 벗어나, 이들은 시간의 속도를 늦추는 법을 배워간다. 오늘날처럼 효율과 속도를 중시하는 시대에, 그런 '정지'는 오히려 불편하고 두려운 일일 수 있다. 하지...

『도쿄 산책자』 정체성을 잃은 시대, 도시에서 나를 찾다

이미지
도쿄는 내게 늘 이중적인 인상을 주는 도시였다. 익숙하면서도 낯설고, 화려하면서도 공허한 그 도시. 그러던 어느 날, 강상중 교수의 『도쿄 산책자』를 접하면서 나는 마치 안개 속 풍경이 선명해지는 듯한 감각을 느꼈다. 도시의 골목마다, 거리의 표정마다 녹아 있는 인간과 사회의 이야기를 섬세하게 풀어내고 있었다. 그 안에서 나는, 내가 잊고 있었던 여행의 진짜 의미를 되짚어보게 되었다. 이방인으로 도쿄를 걷다 책장을 펼치자마자 마주한 문장이 있다. “도쿄를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합니다. 상경한 지 40년이 넘었지만 이 거리에서는 언제까지고 스트레인저, 그런 기분입니다.” 이 말은 나의 여행 경험을 통째로 대변하는 듯했다. 낯선 도시에서 길을 잃는 순간, 진짜 여행이 시작된다고 믿는 나에게 이 말은 묘한 위로가 되었다. 강상중 교수는 도쿄를 그저 바라보지 않았다. 그는 도시와 부딪히며, 이방인으로서의 시선으로 도쿄의 속살을 들여다 보고 있다. 나는 그가 바라보는 풍경을 함께 따라 걸으며, 내가 지나쳐온 장소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장소가 말을 걸어오는 순간들 『도쿄 산책자』는 장소마다 고유한 질문을 던진다. 메이지신궁에서 “마음의 성역”이라는 주제로, 현대인이 신성함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해 묻는다. 내가 이곳을 처음 방문했을 때 느꼈던 청명한 공기와 경건한 분위기는 단지 경치 때문만은 아니었다. 이 책을 통해 그 감각 뒤에 깃든 수백 년의 시간과 사람들의 기도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포시즌스 호텔이나 국립신미술관, 도쿄증권거래소 같은 공간에서도 저자는 일반적인 정보 보다는 사유를 끌어내고 있다. 도시가 소비와 생산의 장소에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서사가 사라진 시대의 도시 롯폰기힐스를 가리켜 ‘도시의 바벨탑’이라 표현한다. 초고층 빌딩과 복합 문화 공간이 모여 있는 이곳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얼굴을 비추어 본다. “대서사의 종언”이라는 개념을 꺼내 들며, 도시의 가치는 더 이상 단일한 서사로 설명되...

길 위에서 마주친 인간의 진실 『The Places In Between』

이미지
2002년 겨울, 영국의 외교관 로리 스튜어트는 아프가니스탄의 서쪽 헤라트에서 수도 카불까지 단독으로 걸었다.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직후의 전쟁터, 아직 불안이 가시지 않은 땅. 『The Places In Between』은 그 36일간의 도보 여행을 기록한 여정이자, 인간성과 문명의 경계선을 묵묵히 되짚는 보고서이다. 책장을 펼치는 순간부터 독자는 ‘여행기’의 틀을 넘어서는 무게감을 체감한다. 이 책은 지도 위의 경로에서 벗어나, 정신의 여정을 따라가는 문학적 작품이다. 스튜어트는 어떤 화려한 서사를 덧입히지 않았다. 오히려 담담하게, 그러나 세밀하게 써내려간 단어들로 삶과 죽음, 환대와 폭력, 폐허와 희망이 혼재된 공간을 독자의 눈앞에 펼쳐 보인다. 그 여정에서 독자가 함께 걷는 것은 먼 이국의 길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 존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여행은 누구의 것인가, 『Airplane Mode』 경계의 여행학

이미지
불 꺼진 기내에서 불현듯 켜지는 화면 속 지도가 있다. 그 위에 흐르는 궤적은 단순한 비행 경로가 아니라, ‘누가 이동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세계의 답이다. 샤나즈 하비브(Shahnaz Habib)의 『Airplane Mode: Travels in the Ruins of Tourism』는 이 묵직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책 속에는 여행이라는 말에 깃든 역사, 편견, 그리고 기쁨의 궤적을 따라가며, 여권과 지도, 가이드북, 꽃, 그리고 회전목마 같은 ‘여행의 유물’을 하나씩 꺼내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