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그리스인 게시물 표시

제네바에서 키베르까지, 부비에의 여행

이미지
살면서 단 한 권의 책이, 삶의 방향을 흔들어놓는 일이 있다. 니콜라 부비에의 『The Way of the World(세상의 용법)』은 내게 그러한 충격을 안겨준 책이다. 책에서는 여행의 노하우는 담겨있지 않다. 오히려 모든 익숙한 기준을 내려놓고, 세상을 보고 받아들이는 '자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여행은 사람을 만들거나 해체시킨다" 는 부비에의 고백처럼, 책장을 덮었을 때 나는 마치 해체된 퍼즐 조각이 새로운 질서를 찾아 맞춰지는 감각을 느끼게 될 것이다. 피아트 토폴리노, 고장이라는 축복 여행에서 동행이란 단어는 사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세상의 용법』에서 부비에와 그의 친구이자 화가인 티에리 베르네의 여정에 함께한 피아트 토폴리노는 단순한 탈것을 넘어서는 존재였다. 그 낡은 자동차는 말없이 이들의 길을 함께 걸었고, 고장이라는 이름의 우연한 정지에서 수많은 인연과 마주침을 가능케 했다. 작은 엔진의 떨림과 오일 냄새, 균열 난 차체 아래에 누워있는 두 사람의 모습이 선하게 그려진다.  "황폐한 정비소야말로 형이상학적 만남의 장소였다" 부비에의 묘사는 과장이 아니라 실감이다. 한겨울 차가운 바람이 스며드는 정비소 안에서도, 인간의 체온과 이야기는 여전히 뜨겁게 타오르고 있었다. 그런 장소에서 만난 누군가의 짧은 미소, 도와주려는 손길, 커피 한 잔의 온기야말로 여행 중 만나는 진짜 사람 냄새였다. 토폴리노는 자주 멈췄고, 그 멈춤이야말로 두 사람이 '세상'을 만나고 해석하는 방식이었다. 타브리즈에서 배운 느림의 미학 이란 북부 타브리즈에서 부비에와 베르네가 보낸 겨울은, 내게도 오래도록 머무는 장면이 되었다. 그들은 이곳에서 여행을 잠시 멈추고, 낯선 도시의 리듬에 몸을 맡겼다. 빠르게 회전하는 문명의 기어에서 잠시 벗어나, 이들은 시간의 속도를 늦추는 법을 배워간다. 오늘날처럼 효율과 속도를 중시하는 시대에, 그런 '정지'는 오히려 불편하고 두려운 일일 수 있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