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은 여행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도시를 거닐다 보면, 한적한 거리에서 번쩍이는 호텔 간판을 마주칠 때가 있다. 그 순간 나는 종종 상상한다. 저 안에선 어떤 시간이 흐르고 있을까. 벽 너머의 사람들은 어떤 감정으로 하루를 마무리할까. 김다영 작가의 『나는 호텔을 여행한다』를 펼쳤을 때, 바로 그 질문에서 출발하는 한 권의 여행을 만나게 된다. 익숙하게만 여겨졌던 호텔이라는 공간이, 이제는 낯설고도 매혹적인 여행의 주인공으로 다가왔다. 호텔을 고르면, 여행의 중심이 달라진다 기존의 여행 계획은 대부분 이렇게 흘러간다. 도착지와 보고 싶은 장소를 먼저 정하고, 마지막에 '괜찮은 숙소'를 고른다. 그러나 『나는 호텔을 여행한다』는 그 순서를 정면으로 뒤집는다. 이 책에서는 “호텔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단언하고 있다. 동의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 몇 년 전, 베트남에서 우연히 예약하고 머물렀던 한 호이안의 고즈넉한 인테리어의 호텔에서 여행의 일정에서 숙소에서 머무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 화창한 날이었지만, 바깥으로 한 발짝도 나가지 않아도, 책을 읽고, 커피를 마시고, 바깥 풍경이 은은히 흐르는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보낸 그 하루는 그 어떤 관광보다 진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호텔은 단순히 잠만 자는 공간이 아니라, 하루를 살아내는 장소”라고. 저자가 얘기한다. 이 문장 하나에 이 책의 모든 의미가 압축돼 있다. 여행의 키워드는 이제 ‘능동적 휴식’ 무작정 쉬기 위한 여행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쉬는 여행’. 이 책은 그 개념을 다양한 호텔을 통해 실현시키고 있다. 여행은 의무가 아닌 휴식과 새로움을 얻고자 하는 여정이다. 보통 여행을 하면서도 일정표에 묶이고, 구글맵에 의지하며 헤메다 그 시간마저 일처럼 보낸다. 책에서는 그런 여행의 틀을 부드럽게 흔든다. “어메니티 하나, 침대 옆 조도, 로비의 음악”이 곧 나를 움직이게 한다고. 내가 가장 인상 깊게 읽었던 건, 하와이 라나이 섬의 포시즌스 호텔을 소개한 대목이다. '스트레스를 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