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이탈리아인 게시물 표시

가보지 않았기에 선명한 베니스, 『Venice Observed』

이미지
베니스에는 가본 적이 없다. 메리 맥카시의 베니스 관찰기』를 접하게 되고, 한 계절쯤 그 도시에서 살아본 듯한 기이한 감각에 휩싸였다. 어떤 장소는 직접 가보지 않아도, 좋은 문장을 따라 상상 속에서 충분히 살아볼 수 있다. 바로 이 책은 그런 마법을 보여준다. 낭만과 고전 사이, 베니스라는 역설 내게 베니스는 늘 엽서 속 이미지였다. 푸른 운하와 반짝이는 곤돌라, 그리고 산 마르코 광장에 내려앉은 흰 비둘기 떼. 저자는 이런 인상들을 첫 장부터 정면에서 깨뜨려 버린다. 그녀는 베니스에 대해 쓰는 일은 이미 늦었다고 말하는데, 모든 사람이 베니스에 대해 같은 말을 반복해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 반복조차도 베니스의 본질이라는 역설이 이 책의 시작이 된다. “베니스는 누구에게나 같은 감정을 주는 도시다. 그 감정은 진부하지만, 동시에 진실하다.” 이 문장을 읽으며, 스마트폰에 담긴 여행 사진들을 손가락으로 휙휙 넘기던 행동이 실은 표면만 훑고 지나간 기록에 가까웠다는 걸 깨달았다. 사진은 빛나는 순간만을 포착하지만, 맥카시의 문장에서는 그 도시가 살아온 시간의 흔적과 그 속에 켜켜이 쌓인 감정과 사유의 깊이를 천천히 들여다보게 만들고 있다. 베니스는 인스타그램 속에서 한 장의 낭만으로 소비되기보다는, 단어와 문장의 결을 따라가며 느껴야 할 도시였던 것이다. 창문 하나가 만든 관찰자의 거리감 저자는 베니스의 거리를 걷는 것 보다, 창문을 통해 도시를 바라보는 길을 택하고 있다. 그녀가 머물던 팔라초의 창가에서 베니스를 일상처럼 소비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일정한 거리에서 사유하는 관찰자의 시점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직접 뛰어드는 대신 한 발 물러나 도시의 흐름을 바라보는 방식이 책의 전체적인 태도를 결정짓고 있다. 그래서 『베니스 관찰기』는 현장감 넘치기 보다, 도시에 대한 명상을 산문으로 풀어내는 것으로 읽힌다. 그녀는 운하의 표면에서 빛나는 윤슬의 아름다움에 더해, 그 아래에 흐르고 가라앉은 시간의 흔적과 인간의 흔들림에 더 주목하고 있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