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한 끼를 찾아서 - 『Cook's Tour』, 앤서니 보뎅이 던지는 질문

"우리는 왜 먹는가?"

앤서니 보뎅의 『Cook's Tour』는 이 단순한 질문에 대한 복합적이고 깊은 탐구다. 맛있는 음식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라면 흔하디 흔한 콘텐츠일 수 있다. 하지만 보뎅의 보는 관점은 달랐다. 이 책은 미식기행에 더해 인간과 삶, 전통, 역사, 고통과 환희가 버무려진 '완벽한 한 끼'를 향한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보뎅의 문장은 거칠고 솔직하며 때로는 시니컬하지만, 그 안에는 삶을 직면하려는 진지한 태도가 흐른다.

완벽한 한 끼를 찾아서 - 『Cook's Tour』, 앤서니 보뎅이 던지는 질문

포르투갈, 죽음과 삶의 사이에서

책의 첫 시작은 포르투갈의 한 농장에서의 돼지 도축 장면이다. 여느 요리책이 피하고 싶어하는 그 장면을 보뎅은 외면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그 고통스러운 과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말한다.

“돼지에게 빚진 것이 있다. 이제 나는 돼지갈비 한 점이 살아 숨 쉬던 존재가 죽어서 만들어지는 것임을 안다.”

보뎅은 이 장면을 일부러 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대부분의 요리책이나 여행기는 외면하려 드는 이 불편한 장면을 통해, 음식을 생산하는 진짜 과정을 보여주려 한다. 그는 요리사로서 단지 '요리된 고기'가 아니라, 그 고기가 오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왔는지를 직면하고자 하며, 그것이 진정한 '미식가'의 태도라고 여긴다.

“돼지에게 빚진 것이 있다”는 보뎅의 말은 단지 동물복지를 이야기하는 차원을 넘어서,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여기는 음식 뒤에 숨은 '살아 있는 존재의 죽음'을 잊지 말자는 일종의 윤리적 선언이다.

이 장면은 또한 이 책이 단순히 ‘이국적인 음식 모험기’가 아닌, 인간과 문화, 생명에 대한 깊은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다. 독자로서도 이 장면을 통해 보뎅이 보여주려는 “완벽한 한 끼”란 단지 맛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음식을 만들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이해하게 된다. 나 역시 정육 코너에서 고기를 집으며 한 번쯤은 이 질문을 품어야 했음을 자각하게 된다.

베트남, 금지된 것들의 유혹

보뎅이 반복적으로 찾는 나라 중 하나가 베트남이다. 그는 이곳에서 서구의 시각으로는 이질적일 수 있는, 그러나 현지에서는 일상의 일부인 독특한 음식들을 마주하게 된다. 살아 있는 코브라의 심장을 꺼내 생으로 씹고, 부화 직전의 오리 배아인 발루트를 껍질째 넘기는 경험은 단순한 기행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경계와 문명적 혐오의 접점을 시험하는 의식 같은 행위였다.

보뎅은 이 극단적인 미식 체험을 통해 '맛' 그 이상의 것을 본다. 그는 경외와 불쾌함, 도전과 두려움, 호기심과 거부감이라는 복합적 감정을 동시에 느끼며, 이렇게 표현한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과 금기의 경계선이다.”

하지만 그가 진짜로 마주한 것은 음식 그 자체가 아닌, 전쟁의 상흔이다. 그는 네이팜탄 피해자를 만난 후, 고백하듯 써내려간다. “어떤 미식도 이 슬픔을 위로할 수 없다.” 베트남 어느 거리에서 싸구려 쌀국수를 들이켰던 그 기억 속에, 어쩌면 보뎅과 비슷한 감정을 스쳤는지도 모른다. 음식은 그저 맛있는 것이 아니라, 역사와 인간이 얽힌 상징이 된다.

스페인 바스크, 음식이 남성의 언어가 될 때

보뎅은 산세바스티안의 남성 전용 미식 클럽, 가스텔루비데에 들어간다. 이곳은 철저히 남성만의 영역으로, 외부인의 출입이 극히 제한된 전통적 문화 공간이다. 가스텔루비데는 단순한 요리 클럽이 아니라, 바스크 남성들 사이의 공동체 의식과 문화 정체성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장소다.

그는 이곳에서 바칼라오 알 필필(대구 요리)을 함께 만들며 요리 그 자체보다는 '요리하는 시간'의 의미에 집중한다. 남자들만의 폐쇄적인 공간 안에서 나누는 대화는 정치, 스포츠, 역사, 그리고 가족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일상의 모든 것이었고, 그 모든 것들이 '요리'라는 행위를 중심으로 응축되어 있었다. 그들은 칼질을 나누며 침묵 속의 유대를 형성했고, 한 접시의 요리가 완성될 즈음에는 이미 서로를 오래 알고 지낸 전우처럼 느껴졌다.

“음식은 때로 권력이고, 때로는 정체성이다.”

이 장면에서 나 역시 한 편의 고전 연극을 보는 듯했다. 조리 공간은 무대였고, 셰프들은 배우였다. 음식은 그들의 언어이자 유대였다. 문화는 이런 사적인 공간 속에서 더욱 선명해진다.

일본, 유토피아와 장인의 미학

일본에서 보뎅은 음식에 대한 경외감을 표현한다. 그는 복어를 정밀하게 손질하는 요리사의 손놀림에 넋을 잃고, 점액질의 식감을 가진 나토를 마주하며 '맛'이라는 개념의 문화적 상대성을 곱씹는다. 교토에서는 가이세키 요리의 형식미와 정신성을 경험하고, 게이샤와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는 일본 고유의 사회적 계층, 미적 감각, 절제된 상호작용 방식에 깊이 감화된다.

“이곳은 음식의 유토피아다. 그들은 식재료를 존경한다.”

장인의 칼질, 조용한 주방, 절제된 맛. 나 역시 일본에서 먹었던 회덮밥 한 그릇이 떠올랐다. 간장조차 과하지 않았고, 고요함마저 느껴졌다. 보뎅은 그런 절제 속에서 존엄을 느꼈고, 나도 마찬가지였다.

캄보디아, 환상과 환멸 사이

하지만 그의 여정이 항상 이상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캄보디아 편에서 그는 외부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국성'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의 시선은 다소 피상적이었다는 비판도 있지만, 그 또한 이런 한계를 자각하고 있었다.

“진짜 고통은 음식으로 위로받지 않는다.”

이 문장은 여행을 소비의 연장선으로만 보려는 이들에게 던지는 경고처럼 들렸다. 음식도, 여행도 결국 인간을 마주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책속 구성의 매력

책의 구성은 '애피타이저-메인디쉬-디저트'로 나뉘며, 하나의 식사를 연상시키듯 짜여 있다. '디저트' 부분에서 보뎅은 자문한다.

“완벽한 식사란 무엇인가?”

그에 대한 답은 분명치 않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사랑으로 준비된 것, 좋은 사람들과 나눈 것, 전통을 품은 것. 그것이면 충분하다.”

이 구절은 내게 있어 '쿡스 투어'의 핵심이었다. 맛보다 관계, 전통보다 기억, 기술보다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 이 철학은 모든 미식 여행자가 간직해야 할 진리다.

나를보게하는 미식여행

2018년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쿡스 투어』는 그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유작처럼 느껴진다. 음식을 좋아한다면, 문학적 글쓰기를 좋아한다면, 여행의 본질을 고민한다면 추천하는 책이다. 그 속엔 셰프의 칼끝보다 날카로운 통찰이 있고, 주방의 열기보다 뜨거운 인간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다. 나 역시 이 책을 덮은 뒤, 한 끼를 더 존중하게 되었고, 여행지의 식탁에서 눈을 더 오래 머물게 되었다.

여행은 세상을 보기 위함이 아니라, '나'를 더 깊이 보기 위함이라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크로드 세계사』 여행의 깊이를 더해준 한 권의 책

나무의 심장박동을 듣다. 『The Heartbeat of Trees』가 알려준 감성 트래블

진짜 여행은 지도에 없다! 모노클이 안내하는 도시의 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