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다시 배우다, 『Atlas Obscura』
.webp)
이 문장을 처음 읽었을 때, 세계지도를 바라보던 초등학생 시절을 떠올렸다. 그 종이 위에는 아직 도달해보지 못한 세상이 무수히 떠 있었고, 손가락으로 그 위를 더듬으며 이름도 낯선 도시를 읽어보곤 했다. 『Atlas Obscura』는 그런 어린 시절의 경외심을 다시 불러오는 책이다. 너무나도 밀도 있고, 놀라운 이야기들이 한 페이지 한 페이지마다 담겨 있다. "여행은 익숙함을 지우는 연습이다." 아틀라스가 아닌, 경이의 수집함 책을 펼치자 마자 시선에 들어온 것은 투르크메니스탄의 사막 한가운데. 현지에서는 '지옥의 문'이라 불리는 그 장소다, 40년 넘게 꺼지지 않고 타오르고 있는 천연 가스 구덩이로, 마치 지구의 숨구멍처럼 어둠 속에서 울컥울컥 살아 움직이는 느낌을 준다. 다큐멘터리에서 지나치듯 무심코 본 적이 있었지만, 책에서 그 장면을 다시 보게되니, 더 없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장작처럼 피어오르는 불길과 모래 위로 진동하는 열기의 묘사는 단어 하나하나에서 살아 움직이듯 보이고,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처럼 손끝이 뜨거워짐을 느낀다. 저자들은 이 책을 '호기심의 캐비닛'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 표현이 왜 절묘하게 맞는지, 이 장면에서 깨닫게 되었다. 장소 하나하나가 냉장 보관된 백과사전 속 정보가 아니라, 세상 어딘가에서 조용히 숨 쉬고 있던 기억의 파편처럼 생생하게 펼쳐진다. 익숙하지 않음이 주는 자유 책은 무심코 지나쳤던 세상의 이면을 끄집어낸다. 뉴질랜드의 반딧불이 동굴이나, 그 어둠 속을 빛으로 수놓은 자연의 장면 앞에서 푹 빠져 버렸다. 인도의 계단식 우물은 건축적 아름다움과 수학적 질서가 어우러진 조형물로서 눈을 사로잡았고, 영국에 실제로 존재한다는 거머리로 작동하는 날씨 예보 장치는 믿기 어려울 만큼 독특하고도 기묘하다. 페이지를 넘길수록 현실과 환상이 얇은 막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다는 감각을 느끼게 된다. 이 책을 보고있으면 지금 당장 배낭을 메고 길을 나서고 싶게 만든다. 계획보다는 ...